TwoApples/Information

[공부] 재무제표 읽는 법 - 공부왕찐천재 홍진경

잘생긴 이미남 2022. 5. 2. 12:23
반응형

재무제표 읽는 법 - 공부왕찐천재 홍진경 유튜브 채널에서

재무제표를 검색하면서 공부를 해서 그런지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위와 같은,

동영상을 추천해 주었습니다. 

 

주식투자를 하는 슈카선생님이라는 분을 모시고,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, 

짧은 시간이지만 머리 속에 쏘옥~ 박히는 부분들이 있어서 내용들을 함께 공부해 봅니다. 


01. ROE : 자본 대비 수익률

'치킨집을 개업을 자본금 1000만원을 들여서, 1년 동안 일을 했을 때, 100만원의 수익을 벌었다면?!'

10% 수익이 났다고 합니다. 이것을 어려운 말로 ROE(자본 대비 수익률) 라고 합니다. 

 

네가 산 주식의 수익률이 얼마야? 라고 물을 때, 

네가 산 그 기업의 ROE가 얼마야? 라고 물어보는 것이 그말인 것입니다.


02. 시가총액?!

1년에 100만원 버는 회사를 이걸 얼마로 쳐줄 거냐?

현재 시장에서 한 기업의 가치 총액을 시가총액이라고 합니다. 

시총의 경우, 주가의 오르내림에 따라서 시장에서 결정이 됩니다.


03. PER?!

특정 회사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가격이 그 회사 연 순이익의 몇 배냐?! 라고 하는 것을 PER라고 합니다.


04. PBR

'내가 들고 있는 자본에 비해서 몇 배가 되었다!' 하는 것이

특정 회사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가격이 그 회사 자본의 몇 배냐? 라고 하는 것이 Price Book value Ratio 라고합니다.

 

주식을 사려고 하는 입장에서는,

은행에 얼마가 있고, 회사가 얼마나 버는지, 이 두개의 내용을 알면 대충 이 기업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겠네?! 가 되는 것입니다. 

 

결론적으로, 너네가 얼마를 넣어서 얼마를 벌어, 그리고 너네 얼마로 할꺼야?! 가 됩니다. 

방송에 나온 슈카선생님의 말로는,

요기까지의 내용을 알면, 묻지마 투자자가 아닌, 주식투자자 상위 30%가 된다고 합니다.  


가치투자자의 경우,

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되는 기업 주식을 싼 가격에 매수하여 적정한 가격에 파는

투자자를 이야기합니다.

 

PER가 낮은 경우는 다음과 같은 이유일 수 있습니다.

  1.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거나
  2. 기대치가 낮다거나
  3. 저평가 되어 있다

PER가 낮다고 다 좋은 회사가 아닙니다. 낮은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.


05.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

  • 영업이익 - 순수하게 영업만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
  • 당시순이익 - 영업이익을 포함한 일정기간의 총 순이익

06. EPS - 주식 1주당 영업이익을 이야기 합니다.

재무제표에 나와 있는 내용들을 가지고 주식시장의 주가를 따져보는 것입니다. 

거기에서 가격이  적당한지, 가격이 높은지를 결정을 해서 매매결정을 하는데 그 주식의 가격은 시장에서 

이 모든 사람들의 생각들을 반영해서 가격이 결정이 됩니다. 


여전히 어려운 가득한 용어들 이지만!

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순이익을 나눠서 구하는 것이 PER!!

대략 산업마다 정해진 PER가 있는데, 그 PER를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시면 됩니다.

PER 멀티플 배수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에서 이익성장 가능성을 인정해 준다는 것입니다.

부동산도 비싼 땅이 계속 비싸질꺼 같으니까 높은 평가를 유지하면서 집 값이 오르는 것과 비슷한 논리입니다.

 

화이팅!!

반응형